목록Study (47)
Fairy ' 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c6uT/btsnhcR24mV/RY1bZxCNyvyEYf0Wtn6Ag0/img.png)
kube-api server : 쿠버네티스의 주요 관리 구성 요소 kube-api server는 클러스터에서 변경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모든 작업의 중심에 있다. 또한, ETCD data store과 직접 소통하는 유일한 컴포넌트로, 인증과 요청 검증을 담당하며, ETCD data store의 데이터를 받아오고 업데이트 한다. 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kubelet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은 클러스터 내의 각자 영역에서 api server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kubectl 명령을 실행하면, kubectl 유틸리티는 kube-api server에 접근하게 되고, kube-api server는 요청을 인증하고 검증한다. 그 후 ETCD 클러스터로부터 데이터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whte/btsnbKaiPoB/x6xpQYcAzBT1FAjmyb7Oy0/img.png)
Master Node - ETCD 간단/안전/신속하며, 분산되고 신뢰할 수 있는 Key-Value Store 키 값 쌍을 저장하고 회수할 수 있다. Install ETCD Github 사이트에서 OS에 맞는 바이너리 다운로드 / 실행 포트 2379로 Listen하는 서비스가 시작된다. 어떤 클라이언트든 이 ETCD 서비스에 접속해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다. Key-Value Store 개인은 문서를 하나 갖고 그 개인에 관한 모든 정보가 해당 파일에 문서나 페이지 형태로 저장된다. 이런 파일은 어떤 형식이나 구조로든 만들어질 수 있고, 한 파일의 변화는 다른 파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른 문서를 업데이트하지 않고도 이 문서들에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추가할 수 있다. 단순한 키와 값을 저장하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ofoE/btsm9gUDTSm/Rk5MVbZAHOoQF5ukmkzktK/img.png)
Kubernetes 응용 프로그램을 컨테이너 형식으로 자동화하여 호스트하는 것 프로그램의 많은 인스턴스를 쉽게 배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내 다양한 서비스의 통신이 쉽게 가능하다. Kubernetes Cluster : 노드 세트로 구성되며, 물리적 가상,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일 수도 있고 컨테이너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 호스트일 수도 있다. Master Node : Manage, Plan, Schedule, Monitor Node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관리하고 서로 다른 노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어떤 컨테이너가 어디로 갈지 계획하고, 노드와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는 등등을 책임진다. 클러스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ETCD 클러스터가 있다. >> ETCD Cluster, Kube-APIS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lPhW/btr7g8SnhPW/Sz6gRKt6uIAnYu9UM7JRJk/img.png)
객체 관련된 정보와 동작을 함께 모아 놓은 것 프로퍼티는 '키 : 값' 형태를 가지고 있고, 값이 함수일 경우 이것을 '메서드'라고 한다. 내장 객체 - 자주 사용하는 요소들이 자바스크립트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객체 문서 객체 모델 (DOM) - 웹 문서 자체, 이미지, 링크, 폼 객체 등과 document 객체, 웹 문서 안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image 객체 등 웹 브라우저 객체 - 현재 사용 중인 웹 브라우저 정보를 담고 있는 native 객체, history 객체, location 객체, screen 객체 등 사용자 정의 객체 -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자신의 객체를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객체 객체 선언 // 객체 형식 let book1 = { title : "JavaScrip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Q8Yu/btr7n06MJTK/79DSe29DD7O6ucX8cxfPGk/img.png)
내장 객체 사용자가 손쉽게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만들어진 객체 웹 브라우저 창에서 웹 문서를 열면 가장 먼저 window라는 객체가 만들어지고, 하위에 웹 브라우저 창의 각 요소에 해당하는 객체들이 만들어진다. 하위 객체들은 웹 브라우저 창의 각 요소(웹 문서, 주소 표시줄)에 해당하는 객체들이며 각 또 다른 하위 객체를 가지고 있다. window 객체 웹 브라우저 창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 창을 관리한다. window.프로퍼티이름 (프로퍼티 종류 ↓) document : 웹 브라우저 창에 표시된 웹 문서에 접근할 수 있다. frameElement : 현재 창이 다른 요소 안에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요소 반환 ,그렇지 않으면 null 반환 sessionStorage : 웹..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jp2/btr7whtlHIK/KjdQz7Y7rWAqpvrTckvq31/img.png)
DOM 자바스크립트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웹 문서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웹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 웹 문서를 하나의 객체로 정의하고, 웹 문서를 이루는 텍스트나 이미지, 표 등 모든 요소도 각각 객체로 정의한다. ex. 웹 문서 전체 : document 객체, 웹 문서에 삽입된 이미지 : image 객체 등 웹 문서 객체들도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DOM 트리 Do it! 위의 html 소스를 아래와 같은 트리 계층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DOM 활용 DOM 트리와 노드 모든 HTML 태그는 요소(element) 노드가 된다. HTML 태그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내용은 자식 노드인 텍스트(text) 노드가 된다. HTML 태그에 있는 속성은 모두 자식 노드인 속성(attri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jOon/btr5O9kQRhv/l2bk4y7wxzL1ON3jKXZZBK/img.png)
Event 웹 브라우저나 사용자가 실행하는 어떤 동작 - 사용법 ex. button.on[eventname = function() { ... } ex. body.addEventListener("eventname", (e) => { ... }); 문서 로딩 이벤트 about : 웹 문서가 완전히 로딩되기 전에 불러오기를 멈췄을 때 error : 문서가 정확이 로딩되지 않을 때 load : 로딩이 끝났을 때 resize : 문서 화면의 크기가 바뀌었을 떄 마우스 이벤트 click : HTML 요소를 클릭했을 때 dbclick : HTML 요소를 더블클릭 했을 때 mousedown : 요소에서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mousemove : 요소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움직일 때 mouseover : 마우스 포인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3wRL/btr5DTO2s2Q/Cw4GiWtIoUHrAvMZAhKuAk/img.png)
함수 동작해야 할 목적대로 여러 개의 명령을 묶는 것 alert() 라는 것을 이전 글에서 공부하였었는데, alert() 또한 자바스크립트에 포함되어 있는 함수이다.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 { return 결과값; } // 함수 선언 함수명(인수); // 함수 실행 매개변수 : 함수의 외부에서 받는 값 - 매개변수에 인수를 전달받지 못한 변수는 undefined가 되어 결괏값은 NaN이 된다. 인수 :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값을 넣어 넘겨주는 것 return 문을 이용하여 함숫값을 반환한다. 디버깅 프로그램의 결과가 예상한 것과 다르게 나왔을 경우 순서대로 하나씩 진행해 보면서 오류를 찾아낼 수 있다 디버깅 방법 1. html 문서를 열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바로..